면역글로불린 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면역글로불린 E (IgE)는 알레르기 반응과 기생충 감염 방어에 관여하는 항체의 한 종류이다. IgE는 1960년대에 독립적인 두 연구 그룹에 의해 동시에 발견되었으며, 다른 항체와 마찬가지로 2개의 중쇄와 2개의 경쇄로 구성된다. IgE는 항원에 결합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알레르기 반응, 아토피,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 IgE의 생산은 B 세포에 의해 조절되며, Fcε 수용체를 통해 세포와 결합한다. 알레르기 치료에는 항히스타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오말리주맙과 같은 약물이 사용되며, IgE의 구조와 기능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체 - 중화 항체
중화 항체는 병원체의 세포 침투를 막아 감염성을 억제하는 항체로,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이나 세균 독소에 결합하여 작용하며, 수동 면역 치료나 백신 접종에 활용되지만, 일부 바이러스는 중화 항체를 회피하기도 하고, 광범위 중화 항체는 여러 바이러스 변종을 중화하는 능력이 있다. - 항체 - 면역글로불린 A
면역글로불린 A는 척추동물의 점막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글로불린으로, IgA1과 IgA2 동형으로 존재하며 분비형은 병원균 부착을 막고 혈청형은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결핍 시 면역결핍 및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 당단백질 - 프로테오글리칸
프로테오글리칸은 단백질에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라는 다당류가 결합된 복합체로, 동물과 식물에서 구조적 차이를 보이며 동물의 세포외기질에서 세포 간 공간을 채우고 조직의 수분 유지 및 분자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분해 능력에 문제가 생기면 뮤코다당증 같은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당단백질 - 인터페론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세포 방어에 중요한 단백질로, 1형, 2형, 3형으로 나뉘어 면역 수용체에 따라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 면역 체계 활성화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며, 유전자 조작을 통해 대량 생산되어 바이러스성 간염, 일부 종양 및 백혈병 치료에 활용된다.
면역글로불린 E | |
---|---|
개요 | |
종류 | 항체 |
다른 이름 | 면역글로불린 E |
영어 이름 | Immunoglobulin E |
약칭 | IgE |
구조 | |
분자량 | 약 190 kDa |
클래스 | 면역글로불린 |
사슬 구성 | 중쇄 (ε 사슬) 2개 경쇄 (κ 또는 λ 사슬) 2개 |
항원 결합 부위 | 2개 |
기능 | |
역할 | 알레르기 반응 매개 기생충 감염 방어 |
Fc 수용체 결합 | FcεRI (비만세포, 호염기구) FcεRII/CD23 (B세포, T세포, 단핵구, 호산구) |
생산 | |
생산 세포 | 형질 세포 |
조절 인자 | 인터류킨-4, 인터류킨-13 |
임상적 중요성 | |
관련 질환 | 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
진단 | 혈청 IgE 농도 측정, 알레르겐 특이 IgE 항체 검사 |
치료 | 항히스타민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 IgE 항체 (오말리주맙) |
2. 역사
IgE는 1966년과 1967년에 걸쳐 두 개의 독립적인 연구 그룹에 의해 거의 동시에 발견되었다.[10] 1966년, 이시자카 기미시게는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돼지풀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의 혈청에서 IgE를 정제했으며[43], 이후 아내 이시자카 테루코와 함께 콜로라도 덴버에 있는 어린이 천식 연구소 및 병원에서 연구를 이어갔다.[11] 1967년에는 스웨덴 웁살라의 웁살라 대학교 소속 구스타프 요한슨과 Hans Bennich|한스 베니치sv가 독립적으로 IgE를 발견했다.[12][44] 이 두 연구 그룹은 1969년 4월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하였다.[13]
면역글로불린 E(IgE)는 IgG를 비롯한 다른 항체 개별형(아이소타입)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IgE 분자는 두 개의 중쇄(ε쇄)와 두 개의 경쇄(κ쇄 또는 λ쇄)로 구성되며, 이들은 이황화 결합(-S-S-)에 의해 연결되어 Y자 모양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Y자형 분자에서 위쪽 두 갈래 끝부분은 항원과 결합하는 부위(항원 결합 부위, Fab 부위)이고, 아래쪽 줄기 부분은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Fc 부위)이다. 항체 분자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항체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 E(IgE)는 다양한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항체 분자는 일반적으로 B 세포에서 분화된 형질 세포에 의해 만들어진다.[1] 형질 세포는 자신이 세포 표면에 가지고 있던 항체와 동일한 종류의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1] 항원을 아직 만나지 않은 상태의 B 세포, 즉 나이브 B 세포(naive B celleng)는 주로 표면에 IgM이나 IgD를 발현한다.[1]
IgE는 Fc 부위를 통해 세포 표면의 Fc 수용체인 Fcε 수용체(FcεR)에 결합한다. 이 결합은 IgE가 매개하는 알레르기 반응을 시작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Fcε 수용체는 비만 세포, 호염기구뿐만 아니라 사람의 호산구, 단핵구, 대식세포, 혈소판 등 다양한 면역 세포 표면에서도 발견된다.[54] Fcε 수용체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IgE의 명칭에서 알파벳 "E"는 이 항체가 홍반(Erythema)을 유발한다는 사실에서 유래했다.
3. 구조
IgE 중쇄의 정상 영역(Fcε)은 네 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이 도메인들은 가변 영역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Cε1, Cε2, Cε3, Cε4로 불린다. 이 중에서 특히 Cε3 도메인은 IgE 수용체와의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기능
=== 기생충 감염 방어 ===
IgE는 특히 장내 기생충 감염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동물 실험 결과와 인간 대상 역학 조사에서 나타나는 IgE 수치 변화를 통해 뒷받침된다.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IgE가 장내 연충류,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만손주혈흡충(''Schistosoma mansoni'')과 같은 기생충을 제거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71]
사람의 경우, IgE가 기생충 방어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 부족하지만, 여러 역학 연구에서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다.[72] 예를 들어, 주혈흡충증,[73][74] 구충 감염,[75] 편충 감염,[76] 회충 감염[77] 시 체내 IgE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17][18][19][45] 미국 구충(''Necator americanus'')[46], 선충[47] 감염 시에도 IgE 수치가 상승한다. IgE는 헬민스(기생충의 일종)에 대한 방어 과정에서 호염기구 및 비만 세포와 함께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일부 세균 감염에도 효과를 보일 수 있다.[16] 특히 폐에 침입한 촌충이나 십이지장충을 제거하는 데 유익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 알레르기 반응 매개 ===
IgE는 알레르기 반응의 주요 매개체이다. 항원(알레르겐)이 IgE와 결합하면 비만세포가 빠르게 활성화된다. 비만세포는 주로 외부 환경과 접하는 신체 표면 가까이에 분포하며, 항원 침입 시 다양한 면역 분자를 동원하고 주변 림프절로의 림프액 순환을 증가시킨다. 또한 근육 수축을 유발하여 폐나 장에서 병원체를 물리적으로 배출하도록 돕는다.[71]
비만 세포 표면에 결합된 IgE에 항원이 부착되면, IgE 분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가교) 세포 내 과립에 저장되어 있던 히스타민과 같은 화학 물질들이 방출된다(탈과립). 이 과정은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히스타민은 혈관 투과성을 높여 급성 염증을 유발하고, 류코트리엔,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등은 염증 반응의 후기 단계(만성 염증)에 관여하며 다른 염증 세포들을 감염 부위로 불러 모으는 역할을 한다. 기관지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앓는 환자들은 혈청 내 IgE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가 많으며, 이는 과도한 면역 반응이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독소 방어 가설 ===
1981년 마지 프로펫은 알레르기 반응이 단순히 과민 반응이 아니라, 독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최후의 방어 기제로 진화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20][48] 당시에는 논란이 있었지만, 후속 연구들은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21][49]
2013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IgE 항체는 꿀벌[6][50]이나 러셀 살모사[50][51]의 독에 대한 후천 면역(획득 면역)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6][22] 연구진은 소량의 벌 독에 노출되는 것이 이후 더 많은 양의 독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이러한 독소 특이적 IgE 매개 면역 반응은 동물이 벌집 전체나 뱀에게 물리는 등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독소에 노출되었을 때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6][23][24][52] 벌 독의 주요 알레르겐인 포스포리파아제 A2는 IgE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Th2 면역 반응을 촉진하여, 독소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25][53]
=== 암과의 관련성 ===
IgE의 역할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면역계가 암 세포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과정에도 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6] 초기 단계의 암세포가 발현하는 소량의 표지자를 IgE가 인지하여 강력한 세포 독성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암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 때문에 알레르기 치료제로 사용되는 항 IgE 항체 약물(오말리주맙 등)이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오말리주맙과 관련된 다수의 임상 시험(1상~4상, 총 67건)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말리주맙 치료와 악성 종양 발생 사이의 인과 관계는 거의 없는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27]
5. 생산 기전
이러한 B 세포가 사이토카인의 자극을 받으면,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통해 만드는 항체의 종류를 바꾸는 클래스 스위칭 현상이 일어난다.[1] IgE의 생산은 Th2 세포 등이 만드는 인터루킨-4(IL-4)라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촉진된다.[1] 반면, 인터페론 감마(IFN-γ) 자극은 IgE 생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1]
또한, 활성화된 비만 세포 역시 IgE 생산을 늘릴 수 있다.[1] 비만 세포는 IL-4 및 IL-13을 분비하고, CD40L(CD40 리간드)을 발현하여 B 세포를 자극한다.[1] 이 자극은 IgE의 유전 정보(Cε 유전자)가 더 많이 읽히도록(전사) 하여 결과적으로 IgE 생산량을 증가시킨다.[1]
6. 수용체
IgE는 FcεRI과 FcεRII 두 종류 수용체 모두의 발현 양을 증가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는 IgE 매개 면역 반응의 강도를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 신호 전달
비만 세포 표면의 IgE 수용체(FcεRI)를 통한 신호 전달 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세포막의 지질 뗏목에 존재하는 막 결합형 어댑터 분자인 LAT를 거치는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LAT를 거치지 않는 경로이다.
LAT 의존 경로항원 자극에 의해 FcεRI의 β 사슬에 있는 ITAM 영역에 티로신 키나아제인 Lyn이 활성화되어 결합한다. ITAM은 티로신 잔기를 2개 포함하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모티프이다. 이어서 Lyn은 γ 사슬의 ITAM을 인산화시키고, 그 부위에 또 다른 티로신 키나아제인 Syk가 결합하여 인산화된다. Syk는 LAT의 인산화를 통해 하위 신호 전달 분자들을 활성화시킨다. 여기에는 저분자 G 단백질 활성화 경로, 포스포리파제 C 경로, MAP 키나아제 경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신호 전달 과정은 최종적으로 소포체로부터 칼슘 이온 Ca2+의 방출, 세포의 탈과립,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에이코사노이드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 증가 등을 유발한다.
LAT 비의존 경로항원 자극에 의해 티로신 키나아제 Fyn이 인산화되고, 이는 어댑터 분자인 Gab2를 통해 PI3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질병과의 관련성
IgE에 항원이 결합하면 비만세포가 빠르게 반응한다. 비만세포는 병원체가 들어오기 쉬운 신체 표면 가까이 있으면서 면역 분자를 동원하고, 항원 부위 근처 림프절의 림프액 순환을 증가시킨다. 또한 근육 수축을 유도하여 폐나 장의 병원체를 물리적으로 배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71]
IgE는 장내 기생충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물 실험을 통해 생쥐에서 IgE가 장내 연충류, 선모충( Trichinella spiralisla ), 만손주혈흡충( Schistosoma mansonila ) 제거에 관여함이 밝혀졌다.[71] 사람의 경우, IgE가 기생충 방어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결정적 증거는 아직 부족하지만, 역학 조사 결과 주혈흡충증,[73][74] 구충 감염,[75] 편충 감염,[76] 회충 감염[77] 시 체내 IgE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72]
IgE 중 일부는 알레르기 반응에 깊이 관여한다. 특정 알레르겐(주로 집먼지 진드기의 Der p 1, 고양이의 Fel d 1, 풀이나 돼지풀 꽃가루 같은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IgE는[78] 고친화성 생화학 수용체 FcεRI와 독특하고 오래 지속되는 상호 작용을 하여 염증 반응을 매개할 수 있는 호염기구와 비만세포를 민감화시킨다. 이후 동일한 알레르기원이 다시 체내에 들어오면, 이 세포들은 히스타민, 류코트라이엔, 특정 인터류킨 등의 화학 매개 물질을 방출한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천식에서의 기도 수축, 습진의 국소 염증, 알레르기성 비염에서의 점액 분비 증가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혈관 투과성을 높여 다른 면역 세포의 조직 접근을 돕지만, 과도할 경우 혈압을 급격히 떨어뜨려 생명을 위협하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일으킬 수도 있다.[78]
아토피 환자의 경우 혈중 IgE 농도가 정상인보다 최대 10배까지 높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고IgE 증후군 환자에게서도 관찰된다. 그러나 혈중 IgE 농도가 정상 범위인 천식 환자도 존재하므로, 높은 IgE 농도가 반드시 증상 발현의 필수 조건은 아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IgE는 코 점막과 같은 특정 부위에서 국소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84][28]
알레르기 반응 경험과 암 발병 위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79] 아직 일치하지 않는다.[80] 한편에서는 알레르기 반응, 즉 강화된 면역 감시 체계가 뇌종양, 췌장암, 소아 백혈병 등의 발병 위험을 낮춘다고 주장한다.[81] 다른 한편에서는 알레르기가 만성 염증 상태를 유발하여 조직의 반복적인 손상과 회복 과정에서 특정 암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암[82] 또는 천식 환자의 폐암[83] 발병 위험 증가 가능성이 제기된다.
IgE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류마티스 관절염(RA), 건선 등 일부 자가면역질환에서도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5][86] 이러한 질환에서 IgE가 과민 반응을 유발하여 질병의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29][30]
IgE 농도 조절에는 B 세포가 항체를 분비하는 형질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 과정에 저친화성 Fc 수용체인 FcεRII 또는 CD23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7][31] CD23은 또한 IgE 의존적으로 항원 제시를 촉진할 수 있다. 즉, CD23을 발현하는 B 세포가 특정 보조 T 세포(TH)에 알레르기원을 제시하면, TH 세포가 활성화되어 지속적인 TH2 반응을 유도하고 항체 생산을 더욱 촉진하게 된다.[88][32]
9. 진단
의사가 환자의 병력을 확인하고 피부 검사나 혈액 검사를 통해 특정 알레르기원에 대한 특이 IgE 항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알레르기 진단을 내린다.[89][90][33] 특정 IgE 검사는 알레르기를 찾아내는 데 효과가 입증된 방법이다.[34] 반면, 종류를 가리지 않고 모든 IgE를 검사하거나 면역글로불린 G(IgG)를 검사하는 것은 알레르기 진단에 도움이 된다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34]
10. 치료
현재 알레르기 질환과 천식을 치료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약물들이 사용된다.[91]
- 항히스타민과 항류코트라이엔: 염증 매개물질인 히스타민과 류코트라이엔의 작용을 막는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국소 또는 전신(경구 복용 또는 주사)에 투여하여 염증 반응 전반을 억제한다. 다만, 전신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장기간 투여하면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다른 치료법이 있다면 대체하는 것이 좋다.
- 기관지확장제: 천식 발작 시 수축된 기도의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작용 시간에 따라 단기 작용과 장기 작용으로 나뉜다.
- 비만 세포 안정제: 비만 세포 표면의 FcεRI에 IgE가 결합하여 발생하는 탈과립을 억제한다.
IgE 자체, IgE 합성 경로, 그리고 IgE가 매개하는 알레르기 및 염증 경로는 알레르기, 천식 및 기타 IgE 관련 질환의 진행을 막기 위한 중요한 치료 표적이다. B 림프구가 분화하고 성숙하여 IgE를 분비하는 형질세포가 되는 과정에는 중간 단계로 IgE를 발현하는 B 림프모구와 IgE를 발현하는 기억 B 세포가 관여한다. 1987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의 생명공학 기업 Tanox영어는 B 림프모구와 기억 B 세포 표면에 결합된 IgE(mIgE)를 표적으로 삼아 이 세포들을 파괴하거나 활성을 낮춤으로써, 특정 항원에 대한 IgE 생성을 억제하고 면역계의 균형을 IgE 외의 다른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35][91]
IgE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개발되어 활발히 연구 중이다.
첫 번째 접근 방식은 항-IgE 항체 약물인 오말리주맙( omalizumab영어, 상품명: 졸레어( Xolair영어))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약물은 아직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은 자유 IgE를 인식하여 중화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IgE가 비만 세포나 호염기구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졸레어는 여러 국가에서 중증의 지속적인 알레르기성 천식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또한, 2014년 3월에는 H1-항히스타민으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로 유럽연합[36][92]과 미국[37][93]에서 승인되었다.
두 번째 접근 방식은 B 세포 표면에 결합된 IgE(mIgE)에만 존재하고 자유롭게 떠다니는 수용성 IgE에는 없는 특정 부위, 즉 5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도메인( CεmX영어 또는 M1'영어)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알레르기 및 천식 치료제로 임상 개발 단계에 있다.[38][39][94][95] 항-M1' 인간화 항체인 퀼리주맙( quilizumab영어)은 현재 2b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40][41][96][97]
2002년, 킹스 칼리지 런던의 랜들 세포 및 분자 생물리학 연구소 소속 연구진이 IgE의 구조를 밝혀냈다.[42][98] IgE는 다른 면역글로불린 유형과 달리 매우 구부러져 있고 비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과 IgE가 수용체 FcεRI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는 IgE와 수용체의 결합을 방해하는 새로운 세대의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단일클론 항체보다 저렴한 치료법(예: 소분자 약물)을 설계할 가능성도 열릴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tibody structure
http://www.cartage.o[...]
[2]
논문
Helminths, allergic disorders and IgE-mediated immune responses: where do we stand?
2007-05
[3]
논문
IgE: a question of protective immunity in Trichinella spiralis infection
2005-04
[4]
논문
IgE production in rat fascioliasis
1983-11
[5]
논문
Total and functional parasite specific IgE responses in Plasmodium falciparum-infected patients exhibiting different clinical status
2007-01
[6]
논문
A beneficial role for immunoglobulin E in host defense against honeybee venom
2013-11
[7]
논문
The biology of IGE and the basis of allergic disease
[8]
논문
Immunoglobulin E: importance in parasitic infections and hypersensitivity responses
2000-09
[9]
논문
The pathophysiology of anaphylaxis.
2017-08
[10]
논문
The discovery of IgE
1993-02
[11]
논문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man reaginic antibody. IV. Presence of a unique immunoglobulin as a carrier of reaginic activity
1966-07
[12]
논문
Immunological studies of an atypical (myeloma) immunoglobulin
1967-10
[13]
논문
Histamine release from human leukocytes by anti-gamma E antibodies
http://www.jimmunol.[...]
2016-02-29
[14]
논문
The CD23a and CD23b proximal promoters display different sensitivities to exogenous stimuli in B lymphocytes
2002-05
[15]
논문
IgE receptors
2001-12
[16]
논문
Mast cell-orchestrated immunity to pathogens
2010-06
[17]
논문
Evidence for an association between human resistance to Schistosoma mansoni and high anti-larval IgE levels
1991-11
[18]
논문
Immunity in humans to Necator americanus: IgE, parasite weight and fecundity
1995-02
[19]
논문
Allergen-specific IgE and IgG4 are markers of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in a human intestinal nematode infection
2005-06
[20]
논문
The function of allergy: immunological defense against toxins
1991-03
[21]
논문
Allergic host defences
2012-04
[22]
논문
IgE antibodies, FcεRIα, and IgE-mediated local anaphylaxis can limit snake venom toxicity
2016-01
[23]
웹사이트
Bee sting allergy could be a defense response gone haywire, scientists say
http://med.stanford.[...]
2013-10-24
[24]
웹사이트
Severe Allergies to Bee Stings may be Malfunctioning Evolutionary Response
https://www.naturewo[...]
2013-10-25
[25]
논문
Testing the 'toxin hypothesis of allergy': mast cells, IgE, and innate and acquired immune responses to venoms
2015-10
[26]
논문
Activity of human monocytes in IgE antibody-dependent surveillance and killing of ovarian tumor cells
2003-04
[27]
논문
Omalizumab and the risk of malignancy: results from a pooled analysis
2012-04
[28]
논문
Allergen drives class switching to IgE in the nasal mucosa in allergic rhinitis
2005-04
[29]
논문
The prevalence of IgE antinuclear antibodies in rheumatoid arthrit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1978-10
[30]
논문
Serum IgE concentrations, disease activity, and atopic disorder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1995-01
[31]
논문
CD23: an overlooked regulator of allergic disease
2007-09
[32]
논문
Facilitated antigen presentation and its inhibition by blocking IgG antibodies depends on IgE repertoire complexity
2011-04
[33]
논문
Pearls and pitfalls of allergy diagnostic testing: repor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Specific IgE Test Task Force
2008-12
[34]
간행물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choosingwisel[...]
2012-08-14
[35]
서적
Anti‐IgE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IgE‐Mediated Allergic Diseases
[36]
웹사이트
Novartis announces Xolair® approved in EU as first and only licensed therapy for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CSU) patients unresponsive to antihistamines
http://www.novartis.[...]
Novartis
2014-12-04
[37]
웹사이트
Novartis announces US FDA approval of Xolair® for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CIU)
http://www.novartis.[...]
Novartis
2014-12-04
[38]
간행물
Unique epitopes on C epsilon mX in IgE-B cell receptors are potentially applicable for targeting IgE-committed B cells
2010-02
[39]
간행물
Antibodies specific for a segment of human membrane IgE deplete IgE-producing B cells in humanized mice
2010-06
[40]
웹사이트
MEMP1972A
http://www.clinicalt[...]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4-12-04
[41]
간행물
Targeting membrane-expressed IgE B cell receptor with an antibody to the M1 prime epitope reduces IgE production
2014-07
[42]
간행물
The crystal structure of IgE Fc reveals an asymmetrically bent conformation
2002-07
[43]
간행물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man reaginic antibody. IV. Presence of a unique immunoglobulin as a carrier of reaginic activity
[44]
간행물
Histamine Release from Human Leukocytes by Anti-λE Antibodies
http://www.jimmunol.[...]
2016-02-29
[45]
간행물
Evidence for an association between human resistance to Schistosoma mansoni and high anti-larval IgE levels
1991-11
[46]
간행물
Immunity in humans to Necator americanus: IgE, parasite weight and fecundity
1995-02
[47]
간행물
Allergen-specific IgE and IgG4 are markers of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in a human intestinal nematode infection
2005-06
[48]
간행물
The function of allergy: immunological defense against toxins
1991-03
[49]
간행물
Allergic host defences
2012-04
[50]
웹사이트
Bee sting allergy could be a defense response gone haywire, scientists say
http://med.stanford.[...]
2019-11-20
[51]
간행물
IgE antibodies, FcεRIα, and IgE-mediated local anaphylaxis can limit snake venom toxicity
2016-01
[52]
웹사이트
Severe Allergies to Bee Stings may be Malfunctioning Evolutionary Response
https://www.naturewo[...]
2021-08-03
[53]
간행물
Testing the 'toxin hypothesis of allergy': mast cells, IgE, and innate and acquired immune responses to venoms
2015-10
[54]
문서
Kinet JP.(1999)"The high-affinity IgE receptor (Fc epsilon RI): from physiology to pathology."''Annu.Rev.Immunol.'' '''17''',931-72.
[55]
문서
Sutton BJ, Gould HJ.(1993)"The human IgE network."''Nature.'' '''366''',421-8.
[56]
문서
Sarfati M, Bettler B, Letellier M, Fournier S, Rubio-Trujillo M, Hofstetter H, Delespesse G.(1992)"Native and recombinant soluble CD23 fragments with IgE suppressive activity."''Immunology.'' '''76''',662-7.
[57]
문서
Parravicini V, Gadina M, Kovarova M, Odom S, Gonzalez-Espinosa C, Furumoto Y, Saitoh S, Samelson LE, O'Shea JJ, Rivera J.(2002), "Fyn kinase initiates complementary signals required for\nIgE-dependent mast cell degranulation."''Nat.Immunol.'' '''3''',741-8.
[58]
웹인용
Antibody structure
http://www.cartage.o[...]
2008-09-06
[59]
간행물
Factors affecting human IgE and IgG responses to allergen-like Schistosoma mansoni antigens: Molecular structure and patterns of in vivo exposure
[60]
간행물
IgE: a question of protective immunity in Trichinella spiralis infection
https://archive.org/[...]
[61]
간행물
IgE production in rat fascioliasis
https://archive.org/[...]
[62]
간행물
Helminths, allergic disorders and IgE-mediated immune responses: where do we stand?
[63]
간행물
Total and functional parasite specific IgE responses in Plasmodium falciparum-infected patients exhibiting different clinical status
[64]
간행물
The biology of IGE and the basis of allergic disease
[65]
간행물
Immunoglobulin E: importance in parasitic infections and hypersensitivity responses
https://archive.org/[...]
[66]
간행물
"In Vitro" Studies of Human Ragweed Allergy: Changes in Cellular and Humoral Activity Associated with Specific Desensitization
[67]
간행물
Legends in allergy: Philip S. Norman and Lawrence M. Lichtenstein—The Hopkins Experience
[68]
서적
면역생물학
E PUBLIC
2008-08-25
[69]
간행물
The CD23a and CD23b proximal promoters display different sensitivities to exogenous stimuli in B lymphocytes
http://www.nature.co[...]
2002
[70]
간행물
IgE receptors
2001
[71]
서적
면역생물학
E PUBLIC
2008-08-25
[72]
저널
Helminth Allergens, Parasite-Specific IgE, and Its Protective Role in Human Immunity
http://journal.front[...]
[73]
저널
Evidence for an association between human resistance to Schistosoma mansoni and high anti-larval IgE levels
[74]
저널
Human IgE responses to Schistosoma mansoni and resistance to reinfection
http://www.scielo.br[...]
[75]
저널
Immunity in humans to Necator americanus: IgE, parasite weight and fecundity
[76]
저널
Age- and infection intensity-dependent cytokine and antibody production in human trichuriasis: the importance of IgE
http://jid.oxfordjou[...]
[77]
저널
Allergen-specific IgE and IgG4 are markers of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in a human intestinal nematode infection
[78]
서적
면역생물학
E PUBLIC
2008-08-25
[79]
저널
An overview of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y and cancer
http://onlinelibrary[...]
[80]
저널
Role and Redirection of IgE against Cancer
http://www.mdpi.com/[...]
[81]
저널
Allergies, obesity, other risk factors and survival from pancreatic cancer
http://onlinelibrary[...]
[82]
저널
Incidence of cancer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patients with or without atopic dermatitis in the U.K
[83]
저널
A meta-analysis of asthma and risk of lung cancer (United States)
[84]
저널
Allergen drives class switching to IgE in the nasal mucosa in allergic rhinitis
[85]
저널
THE PREVALENCE OF IgE ANTINUCLEAR ANTIBODIES IN RHEUMATOID ARTHRIT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86]
저널
Serum IgE concentrations, disease activity, and atopic disorder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1995-09
[87]
저널
CD23: an overlooked regulator of allergic disease
2007-09
[88]
저널
Facilitated antigen presentation and its inhibition by blocking IgG antibodies depends on IgE repertoire complexity
2011-04
[89]
웹인용
알레르기
http://labtestsonlin[...]
미국임상화학회(AACC)
2012-09-23
[90]
웹인용
알레르기 검사
https://terms.naver.[...]
NAVER 지식백과
2014-12-04
[91]
저널
Anti-IgE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IgE-mediated allergic diseases
[92]
웹인용
Novartis announces Xolair® approved in EU as first and only licensed therapy for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CSU) patients unresponsive to antihistamines
http://www.novartis.[...]
Novartis
2014-12-04
[93]
웹인용
Novartis announces US FDA approval of Xolair® for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CIU)
http://www.novartis.[...]
Novartis
2014-12-04
[94]
저널
Unique epitopes on C epsilon mX in IgE-B cell receptors are potentially applicable for targeting IgE-committed B cells
2010-02
[95]
저널
Antibodies specific for a segment of human membrane IgE deplete IgE-producing B cells in humanized mice
2010-06
[96]
웹인용
MEMP1972A
http://www.clinicalt[...]
미국국립보건원
2014-12-04
[97]
저널
Targeting membrane-expressed IgE B cell receptor with an antibody to the M1 prime epitope reduces IgE production
2014-07-02
[98]
저널
The crystal structure of IgE Fc reveals an asymmetrically bent conform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